청송의병 유물
|
적원일기(赤猿日記) 적원일기는 청송의진의 활동을 기록한 일기식의 진중 기록이다. 1896년 3월 2일(음1.19)부터 그해 5월 25일(음4.13)까지 총 85일간, 서기 김승진(金承鎭) · 심의식(沈宜植) · 오세로(吳世魯) · 서효격(徐孝格) 등에 의해 기록되었다. |
![]() | |
![]() |
영야음(營夜吟) "밤에 병영(兵營)에서 시를 읊음" 이라는 것인데, 비오는 봄날 밤에 모여 앉아 시를 한 수 씩 지어 읊은 것으로 2수는 일기에 기록되어 있고 나머지는 다른 종이에 기록되어 있었다. |
![]() | |
![]() |
강병론
청송의진 의병대장 심성지 선생이 자신을 위로하고 부하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마음에서 지은 글이다. |
![]() | |
![]() |
소류선생문집(小流先生文集) 명성황후시해와 단발령으로 인해 전국 의병항쟁으로 일어난 시기, 청송의진의 대장으로 활동했던 심성지 선생의 시·서 등을 모아 1907년 후손들이 편집·간행한 문집이다. |
![]() | |
![]() |
정자관 을사조약 이후 경북 청송 지역에서 의병활동을 한 서종탁선생이 사용하던 정자관이다. 서종탁은 1906년 각 고을에서 포수와 민병을 모아 산남의진(山南義陳)을 조성하고 자신은 후봉장이 되어 청송을 비롯한 각지에서 일본군과 격전을 치뤘다. |
![]() | |
![]() |
인산선생문집(仁山先生文集) 청송의진의 서기로 활동한 오세로 선생의 문집이다. |
![]() | |
![]() |
화승총(火繩銃) 산남의진의 창의진 중 후봉장 서종락이 사용하던 화승총으로 천보총(千步銃)이라고 한다. |